단백질의 정의와 분류
탄소, 수소 산소 질소 등을 함유하는 유기 화합물로 질소는 평균16% 정도 함유하며 기본 구성 단위는 아미노산이다.
영양학적 분류
완전 단백질
: 필수 아미노산을 골고루 갖춤, 생명 유지, 성장 발육, 생식에 필요, 카세인(우유), 미오신(육류), 오프알부민(달걀),글리시닌(콩)등
부분적 완전 단백질
: 필수 아미노산 중 몇 개가 부족함, 생명 유지는 할 수 있으나 성장 발육은 하지 못함, 글리아딘(밀), 호르데인(보리), 오리제닌(쌀) 등
불완전 단백질
: 생명 유지나 성장 발육 모두 할 수 없음, 제인(옥수수), 젤라틴(육류)
화학적 분류
단순 단백질
: 가수 분해에 의해 아미노산과 그 유도체 생성,
알부민: 혈청, 흰자, 근육
글로불린: 근육, 혈청, 원두
글루텔린: 밀의 글루테닌
알부미노이드 : 콜라겐, 케라틴
프롤라민: 글리아딘(밀), 호르데인(보리), 제인(옥수수)
복합 단백질
: 단순 단백질에 다른 유기 화합물(지질, 당질, 인산, 금속)이 결합
인단백질: 카세인(우유), 오보비텔린(난항)
색소 단백질: 헤모글로빈(혈액, 미오글로빈(근육)
리포단백질, 당단백질
유도 단백질: 단백질이 가수 분해되어 생성되는 중간 사물(펩톤, 펩티드)
필수 아미노산
체내 합성이 불가능하여 반드시 음식물에서 섭취해야함녀 성인은 이소류신, 류시느 리신, 메티오닌, 트레오닌, 트립토판, 페닐알라인, 발린 등 8종류가 필요하고 어린이와 회복기 환자는 8종류에 히스티딘을 합한 9종류가 필요하다.
단백질 영양 평가 방법
단백가
필수 아니노산 비율이 이상적인 표준 단백질을 가정하여 이를 100으로 잡고 다른 단백질의 영양가를 비교하는 방법으로 단백가가 클수록 영양가가 큼
단백가(%)
= 식품 중 제 1제한 아미노산 함량/표준 단백질 중 아미노산 함량x100
달걀(100), 쇠고기(83), 우유(78), 대두(73), 쌀(72), 밀가루(47), 옥수수(42)
생물가
단백질의 체내 이용 정도를 평사하는 방법
생물가가 높을수록 체내 이용률이 높음
생물가(%)= 체내에 보유도니 질소량/체내에 흡수된 질소량x100
우유(90) 달걀(87) 돼지고기(79) 쇠고기(76) 생선(75) 대두(75) 밀가루(52)
단백질의 상호 보충 작용
쌀 보리 밀 옥수수와 같은 식물성 단백질은 리신이 부족하나 함황 아미노산은 풍부
우유 대두 호두 와 같이 함황 아미노산이 부족하고 리신이 풍부한 식품과 섭취하면 보족함을 보완 가능하다.
단백질의 구조
1차구조: 펩티드 결합으로 사슬 모양, 단백질 고유의 아미노산 배열이다
2차구조: 폴리펩티드 사슬이 수소 결합이나 이온 결합에 의새 나선 구조나 병품 구조 형성
3차구초: 폴리펩티드 사슬이 결합에 의해 구부러지고 압축되어 구상이나 섬유상 복잡한 구조
4차구조: 3차 구조 단백질ㅇ lah여 소단위가 다시 입체적으로 배열된 것
단백질의 기능
에너지 공급량: 1g당 4kcal의 에너지를 공급, 소화 흡수율은 92%
체액 중성 유지: 체내 삼투압 조절로 체내 수분 평형 유지, 체액의 pH를 유지
효소, 호르몬, 향체형성과 면역작용관여: 효소의 주성분, 티록신 아드레날린 생성
체조직 구성과 보수: 피부, 손톱, 모발, 뇌, 근육 등 인체 조직 구성
단백질의 소화와 흡수
위 속에 있는 펩신은 단백질 분자를 큰 폴리펩티드로 분해시키고 췌장과 소장에서 분비되는 효소에 의해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흡수되지만 일부분은 분해되지 않은 채 뇨중으로 배설된다.
흡수된 아미노산은 단백질 합성 보수 외에 연소되어 열량을 공급하며 당질과 지방으로 전환되어 몸에 저장되기도 한다.
제가 알고 있는 내용들을 간략하게 정리해봤습니다.
'운동 상식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 기초 상식3[운동하는IT] (0) | 2022.09.19 |
---|---|
운동 기초 상식2[운동하는IT] (0) | 2022.09.19 |
운동 기초 상식1[운동하는IT] (2) | 2022.09.19 |
영양학2 지방[운동하는IT] (0) | 2022.09.19 |
영양학1 정의, 탄수화물[운동하는IT] (0) | 2022.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