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공부하기

IT쪽 회사생활 용어정리[운동하는 IT]

리카르도 2022. 9. 8. 10:28
728x90

 회사생활을 하다보면 듣게되는 용어들인거 같아요. 앞으로도 듣게 되는 용어들인거 같아서 공유해요!!!

PM[Project Manager]

pm은 프로젝트를 최종 진행 및 관리하는 담당자를 말합니다.

프로젝트 전체적은 부분들을 지휘하거나 일정 조율 등을 관리하며 프로젝트의 성공을 책임지는 사람입니다

또한 고객의 요구사항을 듣고 프로젝트를 기획하며 일정 및 인력을 관리합니다.

 

 프로젝트 규모에 따라 PL(project leader: 실질적으로 프로젝트 수행업무를 맡은 책임자를 말한다.)을 두고 PM은 전체기획 후 세부기획을 PL에게 전달하여 프로젝트 과정을 유연하고 매끄럽게 진행할 수 있고 기획에 필요한 기본지식,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관리능력(인력분배 및 진척도), 세부 분석능력 등이 필요합니다.

 

PL[project leader]

프로젝트 진행시 PM을 도와 프로젝트를 리딩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프로젝트 규모에 따라 PM 1명과 여러명의 PL을 두고 진행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 중간관리자의 위치로 세부사항을 체크하는 자신의 팀내 작업진행을 체크합니다.

-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세부 설계를 진행합니다.

 

담당하는 개발자들의 진행사항을 체크하고 가이드 및 관리합니다.

프로젝트의 프레임워크 및 DB구고, 개발방향 가이드를 작성합니다.

개발자의 경력이 어느정도 되면 맡게 되는 PL은 실제 프로젝트의 핵심 인물이 됩니다.

 

WBS[Work Breakdown Structure]

프로젝트를 관리 및 시스템 엔지니어링에게 프로젝트를 소규모의 구성단위까지 나누어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 즉 프로젝트의 전체 일정 수립 및 관리 문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를 항목별로 분류하여 각 항목의 진행 일정을 스케줄링하고 항목별 담당자 및 개발자를 두고 체크하게 됩니다. 보통 PM이나 PL이 작성해서 공유합니다

(진행 단계별 진행률을 목록화 하고, 문서 수정 이력을 별도로 남기면서 문서의 버전을 하나씩 올리는 식으로 관리함)

 

 

POC(proof of concept: 기술검증, 개념검증)

  고객이 현재의 시스템을 새로운 기술 기반으로 변경하거나 새로운 솔루션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새로운 솔루션에 대해서 향후 고객사에서 비즈니스 니드 상 필요한 기능에 대해서 검증하는 것입니다.

 

확인사항

1. 기존의 system으로 사용하던 기능을 새로운 솔루션 상에서 동일한 기능 수행이 가능한지?

2. 고객사의 비즈니스 니드상 특별한 기능이 필요할 경우 새로운 솔루션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지?

3. 새로 도입하려고 하는 솔루션이 기존에 사용하던 솔루션과 연동하는 기능이 있는 경우 연동이 수월하게 가능한지

4. 고객사의 SLA(서비스 수준 협약)에 의한 장애 대처가 용이한지등 검증하는 것이 POC입니다.

 

개발은 vendor(제조업체 혹은 판매업체) 사무실에서 시작하다가 center 혹은 고객사에서 시연하는 경우가 많다

 

BMT(bench marking test)

이건 즉 성능테스트를 의미합니다.

솔루션에 대한 BMT이면 솔루션의 운용환경을 맞추고 실제 운용시의 부하 테스트, 스트레스 테스트 등을 진행합니다.

 

-도입하고자 하는 솔루션 바운더리가 정해지면 몇 개의 대상 vendor를 선정해서 성능테스트를 진행합니다.

 

고객사가 동일한 하드웨어 환경과 동일 테스트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동일 부하 테스트기로 부하를 줘서 성능을 측정 : 시연일 전까지는 튜닝이 가능하며 고객사가 과제를 내고 해당 과제를 특정일까지 구현한 후에 기능 검증 및 성능 검증은 H/W환경은 동일해야 합니다.

 

 

OJL(on the job learning)

ojl은 직장에서 다른 구성원과의 상호교류나 관찰을 통해 또는 담당 직무의 수행과정에서의 직접적 경험을 통해 스스로 깨닫는 것으로 새로운 견해와 기능을 습득하여 주체적으로 행동을 변화시키는 과정을 말합니다

 

OJT(on the job training)

교육형태에 따른 용어로 직장내 교육으로 번역되지만 일반적으로 말하면 부하지도, 육성을 말합니다.

 

OJD(on the job development)

직무교육입니다

 

IT(Information Technolgy(정보기술))

전기통신, 방송, 컴퓨팅, 통신망등 사회 기반을 형성하는 유형 및 무형의 기술 분야

 

ICT(Information Comunication Technolgy(정보통신기술))

대표적으로 CCTV같은게 있죠.....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는 체계화된 데이터의 모임을 뜻한다.

작성된 목록으로써 여러 응용 시스템들의 통합된 정보들을 저장하여 운영할 수 있는 공용 데이터의 묶음을 의미합니다. 즉 여러 사람이 공유하여 사용할 목적으로 통합, 관리하는 데이터의 집합입니다.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의 약자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란 뜻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며 응용 프로그램들이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며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DBMS가 실제적으로 관리해주기 때문에 DB = DBMS의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DBMS는 사용자와 DB사이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정보를 생성해주고 관리해줍니다.

DBMS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성 접근방법 및 관한, 유지관리 등의 기능을 지원합니다.

DBMS는 데이터의 종속성과 중복성의 문제를 해결해주며, 모든 응용프로그램들이 DB를 공용할 수 있도록 관리해줍니다.

 

nic card: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

 

소프트웨어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로 구분된다. 둘 다 비트로 구성되어 있고 인간이 종이에 적을 수 있다.

 

데이터는 프로그램외에 모든 것을 가리킨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 MP3 디카로 찍은 사진, 동영상 파일, 문서 등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가 있습니다.

 

프로그램은 입력 물에 대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산출물을 제공하는 것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다른 소프트웨어들이 구동 또는 처리 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 플랫폼이라고 부른다. 가장 대표적인 시스템은 윈도, OS, 리눅스 등의 운영체제나 자바, NET 등의 런타임이나 언리얼 엔진이나 이드텍 엔진 같은 게임엔진 SAAS등 다양한 유형의 시스템들입니다.

 

응용 소프트웨어는 시스템이라는 플랫폼 위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각종 기능을 제공한다. 응용이 영어로 Application이기 때문에 응용을 그냥 애플리케이션이라고 부릅니다

 

유틸리티는 사용자가 편하게 쓸 수 있는 프로그램

 

악성코드란 제작자가 악의를 가지고 만든 것

 

 

이상으로 정리해봤는데 한번 보고 지나가면 좋겠죠???? 다들 화이팅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