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시티의 눈은 무엇일까요??????
많은 사람들이 도시의 구성을 뇌와 비교하기도 합니다. 아무래도 통합플랫폼이니 하는 어쩌면 뇌신경을 떠올리는 부분들이 있어서 그런가 하는데 전 스마트시티에서 CCTV가 생각보다 많은 역할을 한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용어들을 조금 모아봤어요

CCTV 용어
화소(Pixel)
이미지를 형성하는 최소의 단위로서, 화상은 명암이 있는 색의 점(도트)의 배열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화소수가 많을수록 해상도가 높은 영상을 얻을 수가 있다. (참고로 HD와 FHD는 저장 용량이 두배 가까이 차이가 난다고 하네요) 보통 총화소와 유효화소로 구분이 되는데 이것은 전체화소를 총화소로 부르고, 전제화소 중 실제 영상신호로 출력되는 부분의 화소를 유효화소라 말합니다
S/N비율(Signa-to-Noise Ratio)
색신호에 동반하는 잡음(노이즈)성분의 양을 수치로 표시한 것으로 S/N은 신호(SIGNAL,S)와 잡음(NOISES,N)으로 표시하며, 수치가 클수록 잡음(노이즈)이 작아진다. 칼라 S/N은 6db를 늘릴 경우, 잡음(노이즈)의 양이 2배, 또는 1/2가 된다.
노이즈(Noise)
전기 에너지의 임의 송출이나 상호간섭을 말함. 비디오 신호에 있어서 왜란, 재현된 화상의 Grainy효과 혹은 Snowy효과이다. 화상에서 노이즈는 수많은 원인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노이즈 현상은 일반적으로 카메라가 최대 이득의 자체 증폭기로 아주 낮은 신호 라이트 레벨에서 동작할 때 분명하게 나타난다.
룩스(Lux)
빛의 감도를 측정하는 단위(1FC-10Lux)
촛점거리(Focal Length)
렌즈의 기본 성능으로 촬영가능 범위를 결정하는 요소로 초점거리가 긴 경우 촬영범위는 좁고 피사체를 크게 볼 수 있는 반면, 초점거리가 짧은 경우 촬영범위는 넓고 피사체는 작게 볼 수 있다.
볼록 렌즈에 평행한 빛을 입사 시키게 되면 광축상의 한 점에 빛이 집중되는데, 이 한 점에 모인 것을 렌즈의 초점이라고 말하며, 렌즈 중심으로부터 초점거리까지의 거리가 초점거리이다. 초점거리가 긴 경우, 촬영 범위는 좁고 피사체를 크게 볼 수 있는 반면, 초점거리가 짧을 경우에는 촬영범위는 넓고 피사체는 작게 보인다. 이 수치는 렌즈의 화각을 결정하는 바로미터이기도 하다. 흔히 초점거리는 다음 공식으로 구한다.
초점거리 = (피사체 거리 × 이미지 사이즈) / (피사체 높이)
CCD(Charge Coupled Device)
고체 촬상소자중의 하나이며 진공관(Vacuum tube)을 대신하는 신개념의 촬상(撮想)장치(Imaging device)이다. 기본적으로는 빛 에너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수천만 화소를 포함하는 집적회로가 내장된 이미지 센서로서 원화상을 광학계를 이용해 고체소자에 결상시켜 그 상을 고체소자 내에서 전자적으로 주사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해 출력하는 소자를 말한다.
BLC(Back Light Compensation)
역광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기능으로 피사체가 역광상태 하에서 촬영될 경우 모니터에 재생 시, 배경은 밝고 피사체는 어둡게 되어 피사체가 식별불능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두된 기능으로, 한마디로 역광상태의 화질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능을 말한다.
AGC(Automatic Gain Contol)
자동이득조정을 말하며 규정을 오버한 강한 레벨의 신호가 입력됬을 시에는 Gain(필름의 감도와 같은 의미)을 제어하여 신호포화를 방지하고, 약한 신호의 경우에는 규정의 레벨까지 올려서 일정의 레벨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ALC(Automatic Light Control)
빛의 양이 변화하는 상태에서 카메라의 출력레벨을 일정하게 보정하기 위해, 카메라/렌즈 시스템의 조리개에는 개폐를 조절하는 서보 제어시스템이 적용된다. 이 시스템은 렌즈 자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카메라로부터 나오는 전원과 비디오 출력을 받는다. 카메라 내부에 서보시스템이 포함되고, 4개의 선으로 렌즈와 연결되는 다른 시스템도 있다.
핀홀렌즈(Pinhole Lens)
카메라를 몰래 숨겨서 사용하기 위해서 총알형태로 작은 크기로 만든 렌즈, 핀홀렌즈를 사용하는 카메라를 핀홀카메라라고 한다. 해외에서는 Bullet Camera (총알형 카메라)라는 표현이 일반적이다. 핀홀카메라 혹인 비상벨카메라 라고 하기도 해요
쿼드(4화면분할기)
4개의 개별영상을 입려받아 1 개의 화면에 4분할해서 동시감시하는 장비이며, 가장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컬러,흑백전용과 컬러와 흑백이 가능한 제품등이 있다.
-1개의 화면에 최대 4개까지 화면이 분할되기 때문에 17"이상의 모니터를 사용하는것이 가장 좋다. (모니터 화면이 너무 작으면 제대로 영상을 감시하기 어렵다.)
- 단점으로는 화면에 보고있는 상태로만 녹화가된다.즉 4분할 상태에서 녹화하고 다시 재생하였을때 1개의 확대화면으로는 볼수없다.
-모니터에 자체적으로 화면분할 기능을 갖고 있는 제품도 있다.
- 중소형SYSTEM에 적합한 기기이다.
비디오서버(Video server)
컬러동화상이나 음성을 저장하여 통신회선과 근거리(LAN)에 접속된 단말기로부터 이들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한 서버를 말한다. 대화형 케이블TV등 양방향 멀티미디어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이며 현재 일반 사무실에도 도입이 시작됐다. 이 시스템은 "고성능 중앙연산처리장치(CPU)"와 고속 입.출력이 가능한 "메모리" 그리고 많은 단말기에 화상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다중분배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화상데이터는 압축한 후, 디스크어레이로 보관된다. 현재 압축.확장방식은 전송속도 1.5메가비트/초의 MPEG1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사용되는 컴퓨터는 (1)초병렬컴퓨터 (2)메인프레임 (3)전용기 (4)PC및 워크스테이션등이다.
멀티플렉서 (Mux. / Multiplexer)
CCTV주변기기로 8채널, 16채널의 제품이 있으며, 기능으로는 다중녹화 및 다양한 Display모드 설정, 최대 8화면에서 16화면까지의 다중 모니터링 기능을 갖추고 있고, Time Lapse VCR과 연동하여 사용함.
동축케이블 (COAXIAL CABLE)
가장 일반적인 영상전송 전용 케이블이다. 특성임피던스가 75옴이며 가장많이 쓰이는 것이 5C-2V 였으나 최근에는 HFBT 형이 많이 사용된다. 구조는 한 줄의 중심도체(中心導體)와 이것을 동심적(同心的)으로 둘러싸는 외부의 원통형 도체를 조합한 것으로 영상신호 등 고주파용(高周波用)의 전송선(傳送線)으로 사용된다.
프레임스위치(Frame Switcher)
다수의 카메라 영상을 1 화면씩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최대 8 대에서 16 대까지 카메라 영상을 하나의 VCR에 녹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이다.
오토실렉터(Auto Selecter)
카메라 또는 기타 영상신호를 순차적으로 절환하는 영상 스위치.
영상분배기
카메라 영상을 복수의 모니터에서 감시할 경우에 영상신호를 모니터 수량에 맞게 나누어 주는 장치.
동작감지(Motion Detection)
야간 또는 사람의 왕래가 빈번하지 않는 지역에서 물체가 움직이는 것만을 녹화하게 하는 장비로 메모리에 일시 저장된 영상신호를 전단계 화면과 비교하여 변화된 부분이 어느선 이상 발생했을때만 저장하도록 명령을 수행하는 기능.
프리즈(Freeze)
영상을 정지시켜 정지화상으로 하는 것으로, 프레임 또는 필드 메모리에 기억하여 정지 화상으로 표시하거나 비디오(VCR)의 1 프레임을 재생해서 정지화상으로서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와치독(Watch Dog)
DVR상에서 시스템 불안시 (시스템이 다운될 경우, 윈도우상에서의 에러발생으로 프로그램 오류발생의 경우) DVR시스템상에서 스스로 Bug를 감지하여 대처하는 기능으로 일종의 자기 진단 기능이다. 꺼지면 이 프로그램이 켜줘요
폐쇄회로TV(CCTV)
CCTV는 Colsed Circuit Television의 약어이며 직역을 하면 폐쇄회로텔레비젼이다. 이는 특정 수신자를 대상으로 화상을 전송하는 텔레비전 방식이다.
폐쇄회로의 반대말은 Open-circuit Television', 곧 '개방회로 TV'인데, 우리가 말하는 보통 텔레비전이다 그러는 고로 폐쇄회로 TV는 특정목적을 위하여 특정인들에게 제공되는 TV라는 뜻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CCTV는 유무선으로 밖과 연결되지 않아서 '폐쇄회로 TV'로 불리는 것이다.
또한 신호의 전송에는 종래엔 동축 케이블이 사용되고 있었으나 최근엔 고화질을 위한 광파이버 케이블로 대체되어 가기도 하고 종래의 애널로그 전송방식으로 부터 디지털 전송방식으로 전환해 가는 경향도 있다. 주로 침입자감시를 위한 보안의 목적으로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CCTV는 보안관련시스템에서 필수적인 장비이다.
웨이브릿(Wavelet)
차세대 영상압축 소프트웨어기술을 말한다.
웨이브릿 압축기술은 JPEG처럼 프레임 단독으로 영상을 압축 복원하는 기법을 사용하면서 프레임당 3KB 내외(화면해상도 320 ×240 기준)의 압축률을 나타낸다.
웨이브릿은 정지영상 압축률이 JPEG 방식에 비해 3배 이상 높아 저장매체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수요처를 중심으로 호응을 얻고 있는 기술이다.
웨이브릿은 JPEG, MPEG 등 상용화된 다른 영상압축기술과 달리 아직 세계적으로 표준규격이 없다.
하우징(Housing)
카메라를 먼지 및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외관상 깔끔한 이미지를 주기위해 사용하는 장비로 장소와 설치위치에 알맞게 선택해서 사용한다. 또 내부에 온도 조절장치도 설치가 가능해 극한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브라켓(Bracket)
카메라를 천장에 매달든지 벽면이나 기둥에 설치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고정대.
OPLF(Optical Low Pass Filter)
Lens를 통해 들어온 빛의 양을 최적의 상태로 조절하는 장치.
촬상관
촬상관은 인체중 눈의 망막에 해당되는 부분이며, CCTV카메라중 중요한 부분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피사체에 반사된 빛을 받아서 전기적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최초의 촬상관은 진공관을 사용했으나 최근에는 대부분 CCD(고체촬상소자)를 사용한다.
고스트(Ghost)
수신된 영상에 그림자가 생기는 현상으로 원 화상의 좌,우에 나타나게 된다. 이것은 2차 신호 전송 조건의 결과 인데, 원래의 신호보다 빠르거나 늦을 때 화면 상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블루밍(Blooming)
화면중의 밝은 부분에서 주위로 번짐 현상이 발생하는 것.
AWB
감시용으로 사용하는 칼라 카메라에서는 일반적으로 카메라 설치장소에 따라 아침과 저녁으로 시간에 따라 색온도가 3000(도)K부터 7000(도)K까지 변하게 되는데, 이 영향으로 모니터 화면의 색 변화가 심해지게 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WB(Auto White Balance)(=자동 색온도 보정장치)기능을 추가하여 자동적으로 색의 균형을 맞추어 자연스러운 화면을 볼 수 있게 하고 있다.
간략하게 모아봤는데 더 많이 있더라고요 그래서 현장에서 들어본 말들만 조금 모았어요 ㅎㅎ
'IT 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론트엔드 기초2 (VSCODE)[운동하는IT] (1) | 2022.09.19 |
---|---|
프론트엔드 기초1 (개념)[운동하는IT] (2) | 2022.09.19 |
스마트시티[운동하는IT] (0) | 2022.09.15 |
IT쪽 회사생활 용어정리[운동하는 IT] (4) | 2022.09.08 |
네트워크 OSI 7계층[운동하는 IT] (0) | 2022.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