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공부하기

네트워크란? 와이파이는?[운동하는 IT]

리카르도 2022. 6. 29. 11:17
728x90

대표왈 : IT를 하는 사람들이 말이야 대부분 컴퓨터의 기본을 잘 몰라 최소한 이 업계에서 앞으로 일 하려고 한다면 서버, 운영체제, 네트워크 이 정도는 기본으로 알아야 고객들과 원활하게 대화를 할 수가 있어......."네......"

네트워크는 NET과 WORK의 합성어로 컴퓨터와 같은 노드(여기서 노드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1개의 기계를 의미한다.)들이 통신 기술을 통해 그물망처럼 연결되어 통신 하는 형태를 뜻하며, 데이터 및 리소스를 송수신하거나 교환 혹은 공유하기 위한 목적으로 케이블인 유선망과 WIFI인 무선망으로 연결된 2개 이상의 컴퓨터로 구성이 된게 네트워크이다.


네트워크 관련 용어들

패킷(packet , 문화어: 파케트, 소포): 정보 기술에서 패킷 방식의 컴퓨터 네트워크가 전달하는 데이터의 형식화된 블록
ip 주소 : 통신을 위해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에 할당된 고유 번호.
노드 : 데이터를 송신, 수신, 작성 또는 저장할 수 있는 네트워크 내의 연결 지점. 예시로 컴퓨터, 프린터, 모뎀, 브릿지 및 스위치
라우터 :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정보를 전송하는 물리적 또는 가상 디바이스. 패킷교환기라고도 함
라우팅 : 라우터가 패킷을 네트워크에서 목적지까지 보내는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
스위치 : 다른 디바이스를 연결하고 네트워크 내의 노드 간 통신을 관리함으로써 데이터 패킷이 최종 목적지에 도달하도록 보장하는 디바이스.
포트 : 네트워크 디바이스 간의 특정 연결 식별
프로토콜 :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와 통신하는데 필요한 장비(네트워크 장비 등)가 서로 통신을 위해 정해놓은 통신규약.
패킷 교환 :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한 번에 보내지 않고 여럿으로 분할해서 송신하는 것


와이파이(WI-FI)근거리 무선망

AP(access point)
ap에서 wifi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신호가 닿는 곳을 일컬어 wifi-zone이라고 한다.
AP는 일대 다 통신방식을 사용한다. 때문에 연결 장비가 증가하면 전송속도는 반비례하여 감소되고 소수의 디바이스가 연결될 때는 비슷하지만 10개 이산이 되면 속도의 저하가 체감이 된다.


집안에 AP신호가 닿지 않는 공간에는 wifi연결이 어려운데 이 신호를 확장하는 wifi확장기가 있다

AP에서 듀얼밴드 기능을 통해 2.4GHz주파수 대역과 5GHz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동시에 발산합니다.

2.4GHz의 특징
최대속도가 비교적 느린 대신에 장애물의 영향을 덜 받는다. 거리가 좀 멀거나 벽과 같은 장애물이 있어도 통신 가능.

5GHz의 특징
속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하지만 장애물에 취약하고 커버리지가 좁고 벽이 많은 공간은 2.4GHz보다 속도도 느리고 연결이 안 되는 경우도 있다.

2.4GHz, 5GHz 둘은 사용하는 파장이 다르다

무선네트워크는 802.11b/a/g/n 등 총 네 가지 규격이 있습니다.
b규격의 경우 11Mbps의 속도를 가지고 2.4GHz주파수를 사용
a규격의 경우 54Mbps의 속도를 가지고 5GHz주파수를 사용
g규격의 경우 54Mbps의 속도를 가지며 2.4GHz를 사용
n규격의 경우 600Mbps의 속도를 가지고 5GHz, 2.4GHz를 사용하지만 우리나라에선 전파법 상 300Mbps만 사용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802.11n


네트워크를 공부하다가 어쩌다보니 와이파이를 찾고 있었다... 네트워크는 범위가 너무 넓어서 다음에 다시 작성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