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공부하기

컴퓨터의 성능이란?[운동하는 IT]

리카르도 2022. 6. 23. 09:53
728x90

 

"컴퓨터의 성능이 좋다"라고 하면 코린이라도 대략적으로 어떤 느낌인지 알 수 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성능애 대해 표현하라고 코린이로썬 난감하다. 그래서 이런저런 찾아보았다.

 

 컴퓨터의 성능은 속도나 처리량으로 결정된다. 조금 더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어떤 일이 주어졌을 때 컴퓨터의 반응시간이 어떠한지, 그리고 처리속도는 어떠한지, 컴퓨터의 자원을 얼마나 사용하는지 등에 따라서 컴퓨터의 성능이 좋고 나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보통 사용자 입장에선 사용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이 빠르게 실행되는 경우에 컴퓨터 성능이 좋다고 느낀다. 이는 CPU의 실행시간이 빠르다는 이야기가 된다.


CPU의 실행시간 = 프로그램의 CPU 클럭 사이클 수 * 한 클럭 사이클에 걸리는 시간


 클럭은 CPU의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컴퓨터가 작동하기 위해선 일정한 간격으로 전기적인 진동을 공급받아야 한다.

이 특정 한 신호를 클럭이라고 말하며 한 신호 뒤에 다음 신호가 올 때까지의 간격을 한 단위로 잡으며, 1초 동안 1번 작동하는 것을 1Hz라고 한다

 

 예를 들어 50 Hz라면 초당 50 번의 사이클로 0과 1의 디지털 신호가 발생한 것을 의미한다. 즉 이 클럭 수가 높을수록 컴퓨터의 처리 속도가 빠르게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추가적으로 말하자면 컴퓨터의 성능은 CPU, 램의 사용량, 하드디스크의 읽고 쓰는 양, 그래픽카드, 매인 보드, HDD, SSD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참고로 클럭 간의 시간 간격을 "클럭 사이클"이라고 한다 또한 간단한 디지털 장비라 할지라도 안쪽에는 클럭으로 움직이는 부품들이 있어서 클럭 제조기가 필요하며 이는 클럭 제너레이터라고 한다.  PC의 메인보드에도 이런 클런 제너레이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