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doo는 단순히 기술을 강조하는 스프린트 코치가 아니다. 물리적 구성요소(force, direction, rate)를 파악하고, 분리 및 통합을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설계한다.
팀 스포츠에 적용할 때, “무거운 리프팅 vs 빠른 움직임”이라는 이분법적 접근은 이제 유효하지 않다.
수평 추진력, 엉덩이 주도 움직임, 종아리 탄성… 이 모든 것을 언제 어떻게 사용할지를 전략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로 프로의 훈련 설계이다.
✍️ 참고 자료
Pacey Performance Podcast – Jonas Dodoo 편
ALTIS Sprint Science Series
Sports Biomechanics (2022), Kinetics of Sprint Acceleration
1️⃣ "힘은 분리되어 훈련되어야 하며, 통합되어야 한다"
🔬 근거: Young et al. (2015), "Strength qualities and sprint acceleration"
스프린트 초반에는 수평적인 힘 생산 능력이 중요하며, 이는 별도의 근력 훈련(예: sled push)과 고속 반복 훈련을 통해 개발될 수 있음.
등척성 힘(isometric force)은 지면 접촉 시간 감소와 가속 효율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짐.
통합적 프로그램 설계가 가장 가속력 향상에 효과적: "운동 형태 간 역학적 유사성(mechanical specificity)"이 핵심.
📚 인용문:
"Horizontal and isometric strength contribute to early acceleration; however, maximal sprinting requires their combination in training."
2️⃣ "수평 힘이 부족한 선수는 빠르게 출발하지 못한다"
🔬 근거: Morin et al. (2011), "Sprint Acceleration Mechanics: The 2D Force-Velocity Profile"
초기 가속 구간(0–10m)에서 지면에 가하는 수평력의 비율이 높은 선수일수록 스프린트 퍼포먼스가 뛰어남.
무릎, 발목을 통한 수직 방향 움직임만 강조할 경우, 실제 게임 상황에서의 스타트 속도와 유리하지 않음.
저항 썰매, 수평 점프, 저속-고저항 훈련이 초기 구간 개선에 효과적.
📚 인용문:
"The ability to apply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more predictive of acceleration than vertical force capacity."
3️⃣ "엉덩이와 종아리는 별도로 훈련되어야 한다"
🔬 근거: Dorn et al. (2012), "Muscular strategy shift in sprinting" (Journal of Biomechanics)
스프린트 속도가 증가할수록, 엉덩이 근육(gluteus maximus, hamstrings)의 역할이 증가하고, 종아리 근육(soleus, gastrocnemius)은 주로 지면 반발 및 탄성 조절에 기여.
종아리 근육은 반복적인 지면 접촉 관리와 **짧은 시간 내 반응성(reactivity)**을 결정함.
엉덩이 근육은 추진력의 핵심 생성부위로 기능함.
📚 인용문:
"At higher speeds, hip extensors become dominant for propulsion, while plantar flexors manage contact dynamics."
4️⃣ "힘의 분리는 결국 경기력 통합을 위한 전제다"
🔬 근거: Suchomel et al. (2016), "The importance of muscular strength: training considerations"
다양한 종류의 근력 특성들(최대력, 파워, 반응성, 등척성)은 상호 독립적으로 훈련될 수 있으며, 그 후 경기 특이적 동작으로 전이될 수 있도록 프로그레션을 구성해야 함.
근육 간 기능 분리 → 모터 패턴 강화 → 전신 통합이라는 프로세스가 가장 효과적.
📚 인용문:
"Coaches must consider the distinct properties of each strength quality and the need to strategically integrate them into a unified performance."
✅ 통합 요약
🧠 핵심 정리 스프린트는 단순히 무거운 스쿼트로 해결되지 않는다. 수평력, 등척성, 탄성 반응 등 다양한 힘의 구조를 분리하여 훈련하고, 이것을 경기 상황에 맞게 통합하는 것. Dodoo의 철학은 바로 이러한 과학적 근거와 일치하며, 이는 최신 스프린트 생체역학과 퍼포먼스 훈련 연구의 핵심 흐름과 맞닿아 있다.
“Strength must be isolated before it can be integrated.” – Jonas Dod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