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아 대표가 이젠 영어로된 홈페이지를 만들라고 하더라구요 일딴 영어로 모든 페이지를 번역하긴 했는데 홈페이지 기획을 해봤어야 알죠... 지끔 쩔쩔매는중입니다. 그래서 이것저것 준비해봤어요!!
웹사이트 전력기획
기획단계에서 가장 핵심 사항은 고객의 요구사항과 회사의 목표의 교차점을 찾아내는 것입니다.
회사 대표가 회사의 목표를 가장 잘 아는 사람이라면 그 상대편에서 고색의 의견을 반영하는 객관적인 자료가 필요합니다.
1. 웹사이트의 주 오디언스를 파악하고 요구사항/ 불만 사항을 확인한다.
“오디언스는 '청중, 시청자 '를 의미하며 '목표, 대상'을 의미하는 '타깃'(target)을 합쳐 오디언스 타깃팅이란 말을 많이 사용하고 보통 사람을 목표·대상으로 하는 마케팅을 말한다”
웹사이트의 오디언스는 다양할 수도 있다 부분적인 집단일 수도 있고 대학생, 군인, 학생, 청소년, 중장년등 여러집단일 수 있다.
2. 회사에서 원하는 웹사이트의 목표를 설정
목표를 설정할 때는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목표를 설정해야 합니다. 목표가 달성되었는지 웹사이트의 퍼포먼스를 측정가능하게 구축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현재 웹사이트의 KPI를 정리해 두고 개편 후에 동일한 KPI로 퍼포먼스를 측정합니다.
“KPI(핵심 성과 지표)란 중요한 비즈니스 목표 대비 팀이나 조직의 진행상태를 나타내는 정량적인 지표입니다. 조직은 KPI를 여러 계층에서 사용합니다. 추척하고자 하는 지표에 따라 조긱 전채, 특정 팀 또는 개인 KPI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좋은 목표와 만찬가지로 효과적인 KPI는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해야 합니다. KPI를 설정하는 목표는 팀이 성취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이며 언제까지 성취할 것인지와 그 성과를 어떻게 측정할 것인지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효과적인 KPI는 다음과 같습니다
적략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리소스 계획을 알립니다.
측정이 가능합니다.
제어할 수 있고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을 추적합니다.
지표를 적략적인 목표에 연결합니다.
프로젝트가 회사 목표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팀원이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KPI 초안 작성하기
일단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이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를 결정하면 KPI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정량화할 수 있고,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KPI를 설정하기 위해 SMART 사용을 추천합니다.
SMART는 다음을 나타내는 두문자어입니다.
Specific(구체적인)
광범위한 목표가 아닌 구체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SMART 목표를 수립한다는 점을 명심하세요. 모든 이니셔티브가 아닌 구체적인 프로젝트가 성공하길 원하는 것입니다.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수행 중인 작업과 연관된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세요.
Measurable(측정 가능한)
SMART의 “M”은 Measurable을 나타내며, 프로젝트 성패를 평가할 수 있는 특징입니다. 목표에는 성공과 실패를 측정할 수 있는 일종의 객관적인 수단이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수단은 마감일, 수치, 퍼센트 변화, 기타 측정 가능한 요소 등이 될 수 있습니다.
Achievable(달성 가능한)
달성하기 마냥 쉬운 목표보다는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목표를 설정해야 합니다. SMART의 Achievable은 달성 가능한 범위를 완전히 벗어난 목표를 세우지 않아야 한다는 점을 나타냅니다. 이렇게 자문해 보세요. 목표가 프로젝트 범위 내에 있는가? 그렇지 않다면 그 목표는 달성 가능하지 않습니다.
8.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프로젝트 범위 기술서를 참조합니다
3. 웹사이트 진단을 통해 문제점을 확실하게 구분합니다.
웹사이트의 전략에 문제가 있는지 아니면 마케팅인지 시각적으로 구식이고 관리안한 것처럼 보이는지 문제를 정확히 진단해야 합니다.
전략 : 웹사이트가 회사의 사업 목표를 달성하는데 효과적인가?
마케팅: 웹사이트 방문자를 다음 행동으로 이끌 수 있게 설계돼 있는가?
UX : 사용자들이 찾아온 목적을 쉽게 이룰 수 있는가?
시각화(Creative) : 디자인, 사진, 일러스트레이션 등이 전문적이고 고퀄인가?
기술 : 관리하기 쉬운 CMS, 마케팅 자동화, 보안, 속도 등은 만족스러운가?
질문해보기 밑에 질문이 중요해요
4.고객의 요구사항을 확실하게 알기
가끔 고객의 요구사항을 다 안다고 생각할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고객 인터뷰를 통해 미처 생각지 못했던 점을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우선 모든 고객 중 가장 주요한 고객을 우선적으로 인터뷰합니다.
다들 화이팅!!!!!!!!!!
'IT 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홈페이지 기획하기STEP3[운동하는IT] (0) | 2022.09.27 |
---|---|
홈페이지 기획하기STEP2[운동하는IT] (0) | 2022.09.27 |
직무기술서[운동하는IT] (0) | 2022.09.19 |
프론트엔드 CSS[운동하는IT] (1) | 2022.09.19 |
프론트엔드 기초3 (VSCODE)[운동하는IT] (0) | 2022.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