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 상식편

📌 한방 처방별 적응증 정리

리카르도 2025. 5. 15. 17:39
728x90
 
처방명주요 효능대표 적응증 (치료 대상 증상)
가미소요산 (加味逍遙散) 간기울결 해소, 스트레스 완화, 기혈조화 여성 갱년기 증상, 생리불순, 상열감, 불안, 안면홍조, 스트레스성 두통
당귀수산 (當歸鬚散) 활혈화어(어혈 제거), 통증 완화 좌상(타박상), 월경통, 요통, 어혈성 통증, 수술 후 통증
오적산 (五積散) 풍한습담열 제거, 통증·소화·순환 개선 근골격계 통증, 감기 후유증, 생리통, 허리·관절 통증, 냉증
보중익기탕 (補中益氣湯) 기력 보강, 내장 하수 개선 만성피로, 기허체질, 탈항, 자궁하수, 식욕부진, 기운 없음
십전대보탕 (十全大補湯) 기혈쌍보(기혈 동시 보충) 허약체질, 수술 후 회복, 만성 피로, 빈혈, 면역저하
쌍화탕 (雙和湯) 기혈 보충, 피로회복 과로, 만성피로, 감기 후 피로, 회복기 보양
갈근탕 (葛根湯) 발한해열, 경부 근육 이완 초기 감기, 뒷목 뻣뻣함, 두통, 오한, 어깨결림
반하백출천마탕 (半夏白朮天麻湯) 담습 제거, 어지럼증 개선 어지럼증, 메니에르, 두통, 중풍 후유증, 기립성 저혈압
육미지황환 (六味地黃丸) 신음보익, 하초보강 노화, 피로, 안구건조, 이명, 허리·무릎 시큰거림, 요통
우황청심원 (牛黃淸心元) 청열해독, 의식 안정, 중풍 예방 중풍 초기, 고혈압, 극심한 스트레스, 불안, 심계항진
소시호탕 (小柴胡湯) 소양병 증상 완화 (오한·열 왕복) 감기, 소화불량, 갈증, 메스꺼움, 간염, 피로감
삼황사심탕 (三黃瀉心湯) 심화 제거, 장염 완화, 염증 억제 급성 설사, 염증성 장질환, 피부트러블, 화병
방풍통성산 (防風通聖散) 열·습·비만 개선, 해독 비만, 고혈압, 여드름, 피부염, 체내 독소 배출
계지탕 (桂枝湯) 기표조화, 초감기 증상 개선 초기 감기, 미열, 오한, 땀 많음, 근육통
생맥산 (生脈散) 기진해소, 진액 보충 여름철 더위 피로, 심계, 갈증, 피로감, 폐기허
가미귀비탕 (加味歸脾湯) 심비보강, 정신 안정 불면증, 건망증, 긴장성 두통, 수험생, 스트레스성 위장장애
 

📚 구성 이해 팁

  • 가미(加味): 특정 처방에 약재 몇 가지를 더해 변증 맞춤형으로 조정한 것
  • 탕(湯): 끓여서 복용하는 전통 한방 약제 (탕약)
  • 환(丸): 알약 형태, 장기 복용에 적합
  • 산(散): 가루나 분말 형태로, 흡수가 빠름

✅ 실무 적용 예시

  • 상열감 + 얼굴 홍조 + 불안정한 생리:
    → 가미소요산, 청열보혈탕 고려
  • 중풍 후유증 + 어지럼증 + 담음 증상:
    → 반하백출천마탕, 천마산조산
  • 기력 저하 + 피로감 + 허리 무력감:
    → 보중익기탕, 십전대보탕, 쌍화탕
  • 근육통 + 냉증 + 어혈:
    → 오적산, 당귀수산, 독활기생탕

 

✅ 1. 어혈증(瘀血證)에 쓰이는 주요 한방처방 리스트

처방명주요 증상특징 / 적응증비고
도홍사물탕(桃紅四物湯) 통증, 어혈로 인한 월경 이상, 어깨·허리 통증 사물탕 + 도인, 홍화로 어혈 제거 산부인과, 근골격 통증 둘 다 사용
혈부축어탕(血府逐瘀湯) 두통, 흉통, 안면홍조, 불면 상초의 어혈 / 기체 + 어혈 동시 개선 기울+어혈 복합에 효과
계지복령환(桂枝茯苓丸) 고질적 하복부 냉증, 생리통, 자궁근종 한습과 어혈 혼재 증상에 사용 냉증+덩어리감 복합
통경탕(通經湯) 무월경, 생리통, 생리 지연 어혈로 인한 생리 흐름 정체 월경 유도 목적
보중익기탕 + 도인, 홍화 가미 피로 + 어혈 통증 기허+어혈형 통증에 사용 만성피로 + 근육통 동반 시
단삼음(丹參飮) 흉부 통증, 두근거림, 두통 심혈 부족 + 어혈 심장질환 환자 어혈증
궁귀교애탕(芎歸膠艾湯) 출혈이 있으면서 어혈 존재 자궁출혈 후 어혈 제거 + 기혈보충 산후 어혈, 출혈 동시 개선
 

✅ 2. 여성질환에 특화된 주요 한방 처방 정리표

질환 / 증후처방명적응증 특징
월경통 / 생리불순 통경탕, 도홍사물탕, 계지복령환 어혈형 생리통 / 무월경 / 자궁내막증
자궁근종 / 난소낭종 계지복령환, 괄루해백탕, 혈부축어탕 냉증+어혈성 통증, 복부 팽만감
불임 / 배란장애 조경종옥탕, 육린주, 온경탕 생리불규칙, 황체 기능 저하
갱년기 증후군 가미소요산, 지황음자, 황기건중탕 안면홍조, 불면, 짜증, 무력감
산후 회복 / 어혈제거 생화탕, 궁귀교애탕, 보중익기탕 산후 어혈 제거, 자궁 수축, 통증 개선
대하증 / 질염 용담사간탕, 오미소독음 질 분비물 많고 냄새 날 때, 염증성
유산 후 회복 생화탕, 궁귀교애탕, 가미팔물탕 어혈 정체, 하복부 통증, 출혈 지속
 

✅ 3. 침치료 + 약침 + 탕약 병용 예시

병증 / 증후침 치료약침요법탕약 병용
요통 (어혈형) 대장수, 신수, 요양관, 위중 자하거약침, 봉약침 (통증 완화) 혈부축어탕, 도홍사물탕
경항통 (근긴장+어혈형) 풍지, 견정, 완골, 열결 어깨: 자하거 + 신경계 약침 병행 계지가출부탕, 독활기생탕
무월경 / 생리불순 (어혈+기허) 중극, 관원, 삼음교, 족삼리 자하거 + HCG 약침 (자궁자극 목적) 도홍사물탕 + 보중익기탕
갱년기 (상열+기허) 합곡, 태충, 족삼리, 내관 자하거, 홍삼, 가미온담탕 약침 가미소요산, 지황음자
자궁근종 / 낭종 기해, 관원, 삼음교 유효경락 약침 or 침향 계지복령환, 통경탕
산후요통 / 산후어혈 신수, 요양관, 차료, 족삼리 자하거, 산후전용 약침 생화탕, 궁귀교애탕
생리통 (기체+어혈) 중극, 기해, 삼음교, 태충 홍화약침, 자하거약침 도홍사물탕, 통경탕
 

💡 팁: 약침 선택 시 기준

  • 자하거: 자궁·난소 기능 강화, 여성질환 전반에 사용
  • 홍화 / 봉약침: 어혈 제거, 통증 감소
  • 신경계 약침 (가미온담탕 등): 갱년기, 불면, 스트레스성 질환
  • 면역약침 (황기 등): 산후 회복, 피로감 해소

 

✅ 1. 어혈형 월경통 / 생리불순

  • 탕약: 도홍사물탕, 통경탕
  • 침혈: 중극(CV3), 기해(CV6), 삼음교(SP6), 태충(LR3), 혈해(SP10)

🔍 해설

  • 도홍사물탕은 **사물탕(보혈기반)에 활혈제(도인, 홍화)**를 더해 기혈보충 + 어혈제거 동시 수행 → 생리통/생리 지연 개선.
  • 통경탕은 경맥의 흐름을 열어줌(通經) → 생리유도에 적합.
  • 중극/기해는 충임맥을 조절해 자궁기능 조화, 삼음교는 3음경의 교회혈로 월경 관련 질환 핵심혈, 혈해/태충은 혈분 + 간기울결 해소에 효과적.

✅ 2. 기혈양허형 산후 회복 지연 / 어혈 정체

  • 탕약: 생화탕, 궁귀교애탕
  • 침혈: 족삼리(ST36), 삼음교(SP6), 기해(CV6), 혈해(SP10), 대추(GV14)

🔍 해설

  • 생화탕은 산후 대표 처방으로, 어혈 제거 + 자궁수축 촉진 + 기혈보충 3가지 효과를 모두 갖춤.
  • 궁귀교애탕은 자궁출혈 후 어혈 잔류와 기혈허 약증에 사용.
  • 족삼리/삼음교는 기혈 보충 대표혈, 혈해는 어혈 제거, 대추는 기표 허약 시 양기 부양.

✅ 3. 갱년기 증후군 (상열감, 불면, 정서불안)

  • 탕약: 가미소요산, 지황음자
  • 침혈: 내관(PC6), 신문(HT7), 족삼리(ST36), 삼음교(SP6), 태충(LR3)

🔍 해설

  • 가미소요산은 간울 + 혈허 + 기체화열을 조절하는 대표 여성 처방.
  • 지황음자는 신음허 기반 하초허열 증상에 효과적 (안면홍조, 불면, 구건 등).
  • 신문/내관은 심계 불면 안정효과, 삼음교/태충은 간신음 보충 + 울결 해소, 족삼리는 기혈 보충.

✅ 4. 자궁근종 / 난소낭종 (어혈+습담+냉증 복합형)

  • 탕약: 계지복령환, 혈부축어탕
  • 침혈: 관원(CV4), 삼음교(SP6), 기해(CV6), 태충(LR3), 대거(SP13)

🔍 해설

  • 계지복령환은 냉증 + 어혈 덩어리감을 타겟으로 자궁종괴 질환에 빈용.
  • 혈부축어탕은 기체+어혈의 상초형 통증에도 응용 가능.
  • 대거는 소복부 종괴 / 덩어리감에 특화된 혈, 관원/기해는 자궁 기능 조절 및 에너지 강화.

✅ 5. 요통 (어혈+기허 복합)

  • 탕약: 독활기생탕, 보중익기탕가미, 혈부축어탕
  • 침혈: 신수(BL23), 요양관(GV3), 위중(BL40), 아시혈, 족삼리(ST36)

🔍 해설

  • 독활기생탕은 풍습비통 + 간신허 기반 요통에 특화된 처방.
  • 보중익기탕은 기허로 인한 통증의 만성화에 사용하며, 자하거약침 병용 시 시너지.
  • 신수/요양관은 요통 핵심혈, 위중은 경락상 통증 치료혈, 아시혈은 국소 통증점 자극, 족삼리는 전신 보익.

✅ 6. 무월경 (신허+혈허+어혈 혼합형)

  • 탕약: 온경탕, 조경종옥탕
  • 침혈: 중극(CV3), 관원(CV4), 삼음교(SP6), 족삼리(ST36), 태계(KI3)

🔍 해설

  • 온경탕은 허한으로 인한 무월경 / 생리 지연에 사용, 온경 + 활혈 병행.
  • 조경종옥탕은 임신 준비 / 난소 기능 저하에도 빈용.
  • 태계/관원/중극은 신기 보강 + 자궁 강화, 삼음교는 여성질환 전반 핵심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