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메론 조세 (Cam Josse) 코치 인터뷰 요약 –
“스프린트 분석은 단순한 타이밍을 넘어, 운동선수가 어느 단계에서 강하거나 어려움을 겪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소개
페이시 퍼포먼스 팟캐스트 Ep. #297에서는 퍼포먼스 코치 카메론 조세가 등장합니다. 그는 드프랑코 트레이닝 시스템즈(DeFranco’s Training Systems)에서 민간 코칭을 시작으로, 현재는 오번 대학교에서 팀 스포츠 선수들을 지도하고 있습니다.
이 에피소드에서는 조세 코치의 속도 훈련 철학, 선수 심리 이해, 그리고 팀 스포츠에 맞춘 통합적인 코칭 접근 방식이 소개됩니다.
🧠 주요 인사이트 요약
1. 가속력의 핵심적인 역할
폭발적인 첫 움직임이 중요한 팀 스포츠에서, 가속력은 경기력의 기반입니다. 0~10m 구간에서 수평적 힘 발휘 능력을 키우는 것이 핵심입니다.
2. 세분화된 스프린트 훈련
스프린트를 **세그먼트(0~20m, 20~30m)**로 나누면, 각 구간별 특성(힘/탄성/기술)을 따로 집중적으로 개발할 수 있습니다.
3. 탄력성(elasticity) 훈련
최고 속도 구간에서 중요한 건 단순 근력보다도 탄력적인 반동력입니다. 이를 위해 바운딩, 드리블 러닝, 반응성 플라이오메트릭 등을 활용해야 합니다.
4. 개인화된 속도 트레이닝
선수마다 생체역학적 특징이나 심리적 상태가 다르므로, 개별화된 프로그램 설계가 필요합니다. 예: 과도한 후방 스윙, 앞쪽 리프트 부족 등은 개별 기술 교정이 필요합니다.
5. 근육 vs 탄성의 균형 맞추기
속도는 힘과 리듬의 조화입니다. "바닥에서 튀어나오는 느낌"과 같은 **직관적인 큐(운동 단서)**를 활용하면 과도한 분석을 줄이고 유기적인 동작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6. 불편함을 수용하는 훈련 환경 조성
선수들이 실패와 불편함을 성장의 일부로 받아들이도록 지도해야 합니다. 이는 심리적 회복력과 경기 압박 하에서의 수행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 실전 적용 전략
✅ 스프린트 세분화 분석
- 정기적으로 각 세그먼트 구간의 스프린트 타임을 측정하면 선수의 약점과 발전 방향을 명확히 할 수 있습니다.
✅ 기술적 결함 해결
- 예: 버튼킥, 과도한 전방 쏠림, 허리 과신전(오버아치)
→ 프론트 사이드 리프트 향상, 적절한 풋 스트라이크, 드릴 훈련으로 개선 가능
✅ 안전한 최고 속도 훈련 환경
- 급격한 부하 증가 없이 점진적으로 고속 훈련 도입
- 실제 경기 시나리오에 가까운 환경을 통해 선수의 고속 움직임 자신감 향상
✅ 모터틱 큐(Motoric Cue) 활용
- “땅에서 튀어나와”, “바닥이 뜨거운 것처럼 달려”
→ 기술보다 감각을 중시하는 코칭법으로 움직임의 자연스러움 강화
📌 결론
효과적인 팀 스포츠용 속도 훈련은 단순한 파워 트레이닝을 넘어서야 합니다.
- 세분화된 분석,
- 탄력성 강화,
- 개별화된 프로그램,
- 직관적인 코칭 언어,
- 실패를 수용하는 환경
이 다섯 가지 축을 중심으로 한 속도 훈련은,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은 물론 부상 예방과 회복력 강화까지 가능하게 합니다.
'운동 전문가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효과적인 워밍업과 쿨다운: 단순한 준비를 넘어 전략적 코칭의 도구로 (0) | 2025.04.06 |
---|---|
관절 특정 등각/준등각 훈련이 중요한 이유와 실전 적용 사례 (0) | 2025.04.06 |
퍼먼 대학교 농구팀의 오프시즌 훈련 개요 (0) | 2025.04.04 |
경기력과 부상 예방,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목 훈련의 힘 (1) | 2025.04.04 |
운동선수를 위한 보충제 가이드: 증거 기반 접근법 (2)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