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공부하기

물리서버, 가상서버?[운동하는IT]

리카르도 2022. 12. 22. 15:54
728x90

연말에 정산할 일들이 많아 대표가 저에게 질문을 안했는데 갑자기 저에게
“자 이제 6개월이 됐다며 그러면 말야 이제 서버가 뭔지 알겠냐?” 라고 물으시고 가상서버와 물리서버의 차이가 뭐냐 클라우드는 신기술이 아니다 it를 한다는 사람이 기본이 되어있어야 한다는 둥 저에게 "그럼 가상서버랑 물리서버 뭐가 더 좋냐 "라고 해서 저는 “성능 차제는 가상서버가 물리서버의 스펙을 넘을 수 없기 때문에 물리서버가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라고 했더니 “내가 너한테 묻는 건 말야 너 생각을 물어보는게 아니라 금 한 덩이가 클까 두덩이가 클까 라는 질문이랑 똑같아 두덩이가 크다 라는 걸 명확하게 알 수 있자나 생각이 아니라 명확한 근거가 있어야 한다.” 라면서 30분 동안 먼 산을 바라보고 있었습니다......

진짜 힘든가봐요...


물리서버란
물리서버는 일반적으로 앞서 말했던 내용들입니다. 기계실이 있고 24시간 돌아가면서 용도에 맞게 고객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거죠

가상서버란?
가상서버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하나의 물리서버를 논리적인 개념으로 여러 개 나눈거라고 할 수 있습니다. 흔히 vmware라는 프로그램을 알고 계신다면 이 프로그램이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밖에도 redhat에서의 프로그램들이나 등등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가상서버 사용이유?
이런 가상서버를 이용하는 이유는 물리서버를 운영하다가 이용자 증가로 인프라를 확장할 때 서버 발주부터 세팅까지 많은 시간이 필요하지만 가상버는 서버를 확장하는데 10분 정도면 서버 확장이 가능합니다. 또한 물리서버는 자원을 낭비하는 부분들이 큰데 가상서브는 자원 활용이 물리서버 보다 자유롭고 효율적이기 때문에 가상서버를 많이 사용한다고 하네요.

가상서버의 장점
1. 여러 버전을 공존할 수 있어 버전을 고객의 버전에 맞게 조정하여 디버깅 및 신규 개발등이 용이하다고 합니다.
2. 비용절감이 월등히 좋아요.
3. pc분실이나 바이러스 감염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 합니다.
4. 원격 접속이 가능하여 장소 상관없이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5. 서버측의 전달되는 것을 특정 프로그램이나 어플 설치 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관리자가 모든 권한 설정을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됩니다.


물리서버 사용이유?
단지 가상서버의 장점을 보면 가상서버만 사용하면 될 것 같지만 큰 기업들이나 공공기관들이 서버실의 공간을 확보하고 물리서버를 사용하는 이유는 보안 때문이라고 합니다.

통계에 따르면 물리서버보다 가상서버의 자원 및 비용 감소를 보면 75%라고 합니다. 이러한 자원 비용이 있지만 그보다 보안이 더 중요하기 때문에 물리서버를 사용한다고 하네요.

가상서버 단점
물론 가상서버에도 단점은 있습니다.
1. 가상환경에서는 물리적 환경 설정과는 다른 전문성이 조금 더 필요합니다.
2. 성능이 큰 서버를 생성할 시 물리서버의 가격을 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3. 물리적인 환경보단 성능이 좋지는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드라이버를 지원하지 않는 하드웨어가 없기 때문에 성능 면에서 다소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4. 모든 서버는 관리서버를 의존한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메인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면 모든 가상 서버는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이렇게 잠깐 공부하면서 느끼는 것은 대표는 금덩어리를 말하면서 물리서버와 가상서버랑 비교를 하며 질문을 했는데 금덩어리를 비교 했다는게 조금 이해가 안갔어요. 상황에 맞게 물리서버와 가상서버를 적절이 사용하는 거 같은데 금 한덩어리 두덩어리 비교는 너무 이상하자나요.... 상황에 따라 한덩어리가 무조건 좋은건 아닌거 같은뎁.....

암튼 전 아직 이제 7개월 되어가는데 버티고 있어요. 이제 얼마 못 갈거 같지만.... 다들 힘내세요 정말 생각하지 못한 이유들로 직장인으로 살기 빡세네요....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