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손목 통증은 통증 위치, 손상 조직, 스페셜 테스트 반응에 따라 병리학적으로 감별할 수 있으며, 각 병변에 따른 중재 전략 또한 다릅니다. 본 글은 손목 통증을 병리생리학적 분류에 따라 정리하고, 감별 포인트, 스페셜 테스트, 관련 구조, 그리고 운동 중재 전략까지 포괄적으로 다룹니다.
📚 손목 병변별 상세 해설
1. 드꿰르벵 증후군 (De Quervain's Tenosynovitis)
- 정의: APL, EPB 건이 지나가는 첫 번째 신전근 구획에 발생하는 협착성 건초염.
- 원인: 반복적인 엄지 사용(육아, 스마트폰, 테니스 등).
- 특징: 엄지 쪽 손목 통증, 특히 손가락 움켜쥐고 손목을 꺾을 때 통증.
2. 손목터널 증후군 (Carpal Tunnel Syndrome)
- 정의: 정중신경이 손목의 횡수근 인대 아래에서 압박되는 증후군.
- 원인: 반복 작업(타이핑, 마우스 사용), 부종, 당뇨, 갑상선 질환 등.
- 특징: 엄지~약지까지의 저림, 야간통, 손가락 감각 이상, 엄지 근육 위축.
3. TFCC 손상 (Triangular Fibrocartilage Complex Injury)
- 정의: 척골두 주변의 삼각섬유연골 복합체가 손상된 상태.
- 원인: 과도한 회전력, 손목 압박, 척골 과성장(Positive ulnar variance).
- 특징: 척측 손목의 통증, 회내/회외 시 악화, 클릭 소리.
4. 주상골 골절 (Scaphoid Fracture)
- 정의: 손목 요측의 해부학적 스너프박스 안에 있는 주상골의 골절.
- 원인: 손 짚은 낙상.
- 특징: 요측 통증, 압통, 골절 선이 늦게 나타날 수 있어 주의.
5. 척골 충돌 증후군 (Ulnar Impaction Syndrome)
- 정의: 척골이 삼각섬유연골 및 수근골과 충돌하여 연골이 마모되는 질환.
- 원인: 척골이 요골보다 상대적으로 길어 생김.
- 특징: 척측 손목 깊은 통증, supination 시 증상 완화.
6. Kienböck 병 (Lunate Avascular Necrosis)
- 정의: 월상골의 혈류 공급이 차단되어 괴사되는 질환.
- 원인: 미세손상 반복, 해부학적 구조 이상.
- 특징: 중년 이하 연령에서 흔하며 점진적 통증, 월상골 함몰.
7. SL 인대 손상 (Scapholunate Ligament Injury)
- 정의: 주상골과 월상골 사이 인대 파열 혹은 불안정성.
- 원인: 낙상, 손목 회전력 부하.
- 특징: 손등 통증, Watson test 시 clunk, SL widening (X-ray).
8. ECU 아탈구 또는 건초염 (Extensor Carpi Ulnaris Instability or Tenosynovitis)
- 정의: ECU건이 활차에서 벗어나거나 건막 내 염증 발생.
- 원인: 회외+신전 동작이 반복되는 스포츠(테니스, 골프).
- 특징: 척측 손목, 특히 회외 시 통증 및 ‘튀는 느낌’.
9. Guyon’s Canal Syndrome (구용관 증후군)
- 정의: 척골신경이 새끼손가락 쪽 손바닥 관을 통과하면서 압박되는 신경병증.
- 원인: 자전거 손잡이 압박, 손바닥 지속 압력.
- 특징: 새끼손가락 감각저하, Froment's sign 양성.
10. Intersection Syndrome
- 정의: APL/EPB와 ECRL/ECRB가 교차하는 부위의 마찰성 건막염.
- 원인: 반복적 손목 신전 운동(역도, 로잉).
- 특징: 요측 손등 부위 마찰음, 국소 부종 및 통증.
11. Extensor Tenosynovitis (손목 신전건 건초염)
- 정의: EDC, EDM 등 신전근의 힘줄을 싸고 있는 건막에 염증이 생긴 상태.
- 원인: 반복적 신전 동작, 특히 손등 쪽 사용 과다.
- 특징: 손등 전반 통증, 저항 시 악화, 때때로 크레피터스 동반.
12. Flexor Tendinopathy (굴곡건 건병증)
- 정의: 손바닥 쪽 굴곡근 (FCR, FCU, FDP 등)의 과사용성 통증.
- 원인: 무거운 물건을 자주 들거나 과도한 굴곡 동작.
- 특징: 손목 전면 통증, 특히 굴곡 시 증가.
13. 손목 관절염 (Wrist Osteoarthritis, RA 포함)
- 정의: 관절 연골이 마모되거나 염증성으로 손상되는 상태.
- 원인: 퇴행성 변화, 류마티스 질환.
- 특징: 아침 강직, 손목 전반 압통, 손 기능 저하.
✅ 손목 통증 병리학적 분류 및 스페셜 테스트 정리
병변통증 위치관련 구조스페셜 테스트양성 반응주요 감별 포인트
드꿰르벵 증후군 (De Quervain's) | 요측, 엄지건 주변 | APL, EPB, 1 extensor compartment | Finkelstein Test | 요측 통증, 강한 당김 느낌 | 엄지 사용 많은 활동자, 젊은 여성 |
손목터널 증후군 | 수근부 중심, 손바닥 | 정중신경, 횡수근인대 | Phalen's, Tinel's | 손가락 저림, 통증, 근력 저하 | 야간통, 엄지 내재근 위축 여부 확인 |
TFCC 손상 | 척측 손목, DRUJ 부근 | 삼각섬유연골복합체, DRUJ | Press Test, Ulnar Fovea Sign | 척측 손목 통증, 불안정감 | 손목 dev+회내 시 악화 |
주상골 골절 | 요측, 해부학적 스너프박스 | 주상골, 요골 | Snuffbox Tenderness, Axial Loading | 압통, axial load 시 통증 | 골절 시 X-ray 상 불분명 가능 |
척골 충돌 증후군 | 척측, DRUJ 깊은 통증 | 척골두, 삼각골 | Piano Key Test | 수동 압박 시 통증 | 척골 positive variance 여부 확인 |
Kienböck 병 | 요측 손목, 중심부 | 월상골, 요골, 혈류 차단 | MRI 필수, X-ray 상 lunate flattening | 초기에는 모호한 통증 | 청년층, 반복 압박력 이력 |
SL 인대 손상 | 손등 중심, 요측 | 주상골-월상골 | Watson Test | clunk + 통증 | 손등 비정상 돌출 or clunk 확인 |
ECU 아탈구/건초염 | 척측 손목, 회외 시 통증 | ECU 건, 활차 | ECU Synergy Test | 회외 + 손목 신전 시 통증 | 골프, 역도 운동자에게 흔함 |
Guyon’s Canal Syndrome | 새끼손가락, 4-5지 감각저하 | 척골신경, 구용관 | Froment's Sign, Tinel's (ulnar) | intrinsic muscle 약화, 저림 | 손바닥 압박 활동 여부 확인 |
Intersection Syndrome | 요측, 손등 쪽, APL/EPB 교차부 | APL, EPB, ECRL, ECRB | Palpation + resisted wrist extension | 마찰음, 국소 압통 | 반복 손목 신전 동작 (로잉, 역도) |
Extensor Tenosynovitis | 손등 전반 | EDC, EDM 등 신전근 | Resisted extension | 힘줄 부위 압통, 저항 시 통증 | 과사용, 손목 과도한 신전력 사용 |
Flexor Tendinopathy | 손바닥 쪽, 손목굴 부위 | FCR, FCU, FDP, FDS | Resisted flexion, palpation | 굴곡 시 통증, 두꺼워짐 | 무거운 물건 들기, 스트레칭 부족 |
손목 관절염 (OA, RA 포함) | 손등 전체, 특히 중년 이상 | 관절 연골, 활액막 | X-ray, joint palpation | 만성통증, 뻣뻣함, 체중부하 시 통증 | 아침 강직, 다발 관절 병력 여부 확인 |
🏋️ 손목 병변별 운동 중재 전략 요약
병변 | 초기 전략 | 중기 전략 | 복귀기 전략 | 피해야 할 동작 |
드꿰르벵 | Thumb splint, rest | Thumb isometric, APL/EPB activation | Eccentric thumb training | Thumb 반복 사용, 과도한 grip |
손목터널증후군 | Nerve glide, splint | 손가락 dexterity 훈련 | Wrist 중립 강화, pronation control | 손목 굴곡 지속, 연속 타이핑 |
TFCC 손상 | 회내/척측 제한, 안정화 | Isometric 회내/회외 + closed-chain | Controlled load (wall push-up) | Supination + ulnar dev 과부하 |
주상골 골절 | 고정, 부하 금지 | ROM 회복 + grip, pronation 점진 부하 | Therabar 회전, hand loading | Early weight-bearing or rotation |
척골 충돌 | Ulnar dev 제한, 회외 유지 | ECU 강화, pronation stabilizing | Supination-based plank progression | Wrist flexion + ulnar dev |
Kienböck | 부목, 손목 휴식 | 손가락/전완 중심 훈련 | 관절 부하 운동은 영상 후 진행 | Loaded wrist ext/flex, 압박 |
SL 인대 손상 | 불안정성 회피, 중립 유지 | Closed-chain stabilization | Plank, wrist press 강화 | 손목 dev+loading 동시 움직임 |
ECU 아탈구 | 안정화 taping, 회외 회피 | Isometric wrist ext + ECU control | Pronated eccentric + wrap 사용 | 골프스윙, 회외+신전 조합 |
Guyon’s Canal | 신경 glide, 손바닥 부하 회피 | 손가락 벌림 강화, 내재근 훈련 | 손기능 dexterity, manipulation | 플랭크, 손바닥 압박 지속 부하 |
Intersection Syndrome | 활동 제한, 부기 감소 | ECR 그룹 강화, foam roll 조절 | 전완 eccentric loading | 강한 손목 신전+회외 반복 |
Extensor Tenosynovitis | 휴식, 아이싱 | 신전근 등척성, 이완 마사지 | 점진적 저항훈련 | 무리한 손목 신전 반복 |
Flexor Tendinopathy | 스트레칭, 열 자극 | 점진적 저항 flexion 훈련 | 기능적 굴곡 훈련 (ball squeeze 등) | 무거운 물건 반복 들기 |
손목 관절염 | 관절 보존 자세교육 | ROM 유지, 가벼운 등척성 | 기능적 task 훈련, 부목 사용 병행 | 체중 부하, 반복적 굴곡/신전 |
🔄 손목 통증과 손가락/팔꿈치의 연관성
손목 통증은 손가락과 팔꿈치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손목 굴곡/신전근은 팔꿈치 내측·외측 상과에서 기시하며, 손목 통증이 실제로는 팔꿈치 상과염의 초기 징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신경 분포의 연속성에 따라 손목에서 발생하는 신경 압박 증상은 팔꿈치나 손가락으로 방사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중신경(Median n.)**은 손목에서 손가락으로, **척골신경(Ulnar n.)**은 팔꿈치에서 손목 및 손가락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손목 통증을 감별할 때는 손목, 손가락, 팔꿈치를 하나의 연속된 사슬로 보고 평가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중요한 검사 항목은 손목뿐만 아니라 팔꿈치 내측/외측과 손가락 감각 및 근력 상태도 포함됩니다. 손목 통증의 원인이 손목 자체뿐만 아니라 팔꿈치나 손가락에서 발생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고, 신경 길이 테스트와 같은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 전략 요약
- 통증 위치 → 병변 추정 → 테스트 → 조직 감별 순으로 접근.
- 스페셜 테스트는 반드시 통증 재현 + 비정상 운동 확인 동반해야 신뢰도↑
- 중재는 부하제한 → isometric → eccentric → functional load 순서로 점진 적용.
- 손목 통증은 대부분 전완, 손가락 기능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독립부위로 보지 말 것.
📚 참고문헌 및 권장 리소스
- Verdan CE. "Anatomy and biomechanics of the wrist." Hand Clinics, 1992.
- Chumbley EM, O’Connor FG, Nirschl RP. “Evaluation of overuse elbow injuries.” Am Fam Physician, 2000.
- Cooper C, et al.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ommon wrist injuries in athletes.” Clin J Sport Med, 2002.
- Magee DJ. Orthopedic Physical Assessment, 6th Ed. Saunders.
- Kibler WB, Sciascia A. "Current concepts: scapular dyskinesis." Br J Sports Med, 2010.
- Rehabilitation Protocols – Mayo Clinic, Cleveland Clinic, Physiopedia
- “Wrist and Hand Special Tests” – Physiopedia: https://www.physio-pedia.com/Wrist_and_Hand_Special_Tests
- 우“Examination of the Wrist” – Orthobullets: https://www.orthobullets.com/hand/6041/wrist-examination
'운동 전문가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장내 미생물, 피로를 에너지로 바꾸는 비밀 (2) | 2025.05.12 |
---|---|
🎯 두근두근 재미있는 듀얼 태스크 트레이닝(Dual Task Training) 다들 알지? (1) | 2025.05.12 |
왜 목에 '담'이 잘 걸리는가? (실전 적용까지 있어요) (2) | 2025.05.09 |
스페셜 테스트 처음 배우는 사람들을 위한 안내서 (0) | 2025.05.08 |
✨ 플로싱 밴드, IASTM, 부항, 저주파 마사지기: 효과와 적용 방법(본인꿀팁) (1) | 2025.05.07 |